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반응형

은행 업무나 공공기관을 통해 증명서를 발급할 때 꼭 필요한 것 바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입니다. 1년에 한 번 재발급받아야 하는 공동인증서. 아래에서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과 무료로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공동인증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란?

 

공동인증서란 과거 공인인증서라고 불리던 개인 정보 인증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상의 전자거래에 사용하는 사이버 증명서의 일종으로 일상생활의 인감증명서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로 전자서명을 하게 되면 서명한 대상자가 누구인지 확인 할 수 있으며, 전자 문서의 위조나 변조를 예방하고, 거래 사실을 증명하는 기능을 합니다.

 

공동인증서는 지정받은 공인인증기관에서만 발급되므로 법적 효력과 안정성이 보장되며, 한번 발급받아두시면 다양한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는 종류에 따라 발급 수수료가 부과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공동인증서는 무료로 발급이 가능하며, 범용 및 전자세금용 공인인증서는 년 4,400원의 수수료를 납부하고 발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 일반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공동인증서는 신분증과 개설되어 있는 은행 계좌가 필요합니다. 은행에 직접 방문해서 발급 하셔도 되지만 거래 은행의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주거래은행의 인터넷뱅킹 / 모바일뱅킹에 접속하신 후, 인증센터에 들어가 인증서발급/재발급을 누르시면 됩니다.

 

만약 발급 받으신 인증서를 다른 은행에서도 사용하고 싶다면, 타기관 공동인증서 등록/해제를 선택하여 등록 진행하시면 이용가능합니다.

 

국민은행공동인증서 기업은행공동인증서 농협공동인증서
새마을금고공동인증서 신한은행공동인증서 우리은행공동인증서
카카오뱅크공동인증서 하나은행공동인증서 SC제일은행공동인증서

 

 

국민은행공동인증서

 

기업은행공동인증서

 

농협은행공동인증서

 

새마을금고공동인증서

 

신한은행공동인증서

 

우리은행공동인증서

 

카카오뱅크공동인증서

 

하나은행공동인증서

 

SC제일은행공동인증서

 

 

 

 

공동인증서 사용처

 

공동인증서는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뱅킹

· 온라인증권

· 전자상거래

· 전자정부 민원서비스

· 4대 사회보험

· 국세청 홈택스

· 전자세금계산서

· 전자입찰 / 조달

· 온라인교육 

 

이외에도 다양한 금융거래 및 국가 복지와 관련된 지원금 등을 받을 때도 사용됩니다. 

공동인증서는 한번 발급 받아두시면 1년간 사용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는 한번 발행해 두시면 1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1년이 되는 시점에 갱신 진행하시면 계속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편리하지만 중요한 공동인증서, 잘 관리하시고 편리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발급 재발급 갱신 방법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